반응형
주석
모든 내용을 주석으로 넣게되면 코드가 지저분 해짐.
네이밍을 잘하면 충분히 해결 가능
네이밍으로 표현할 수 없는 영역을 주석으로 표현하기 바람.
- 법적인 정보 담을 때 : Copyright등등..
- 의도를 명확하게 설명할 때 : 함수내 알고리즘 설명할 때,
- 중요성을 강조할 때
- 결과를 경고할 때
관용적으로 사용되는 키워드
TODO : 당장은 아니지만 다음에 해야할 때 ( TODO@sihyeon : 객체의 책임 더 분리하기 등등 )
FIXME : 치명적인 에러를 발생하는 코드는 아니지만 수정해야할 때 ( 반복문의 depth를 줄이기 )
XXX :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때
포맷팅
Vertical Formatting ( 파일 라인이 길어지는 경우 )
: 한 파일에 코드를 다 넣지 말고, 개념에 맞게 파일을 나눠서 사용.
: 다른 개념의 코드는 Spacing으로 분리하기, 비슷한 개념의 코드는 붙여서 사용하기
: 논리적으로 다른 로직이 돌아갈 때는 엔터 쳐서 구분.
Horizontal Formatting ( 한 줄에 너무 길게 하면 읽기 힘듦 )
: 한줄에 코드를 다 넣기보단 변수 등을 활용해서 가독성 높이기
: 네이밍 잘해서 길이 줄이기
반응형
'Programming language > Clean C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클린코드 작성하기] 네이밍 (0) | 2022.01.07 |
---|